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문학 정서 함양의 중요성과 독서의 중요성

by 아메카지너 2023. 9. 27.

 면접가면 듣는 질문에 최근에 읽은 책이나 감명 깊게 읽는 책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 그걸 떠나서 책을 열심히 읽는다면 인생이 바뀐다. 책을 많이 열심히 읽는다면 인생이 바뀔 수 있다. 책을 읽는 건 돈이 안 든다. 도서관을 공짜로 책을 빌릴 수 있는 건 엄청난 혜택이다. 집 앞에 있는 시나 구청에 도서관에서 살면서 책을 읽으면서 빌릴 수 있다.

 

책 읽자: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처음에 책을 읽을 때 하나씩 읽는 과정이 어렵다. TV, 드라마, 영화는 시각적인 자극이 바로 주어지기 때문에 우리는 상상을 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도파민의 자극에서 충동성의 도파민이 자극이 된다. 책을 읽을 땐 상상 자극 도파민이 나온다. 다른 영화를 보면 충동 자극 도파민이 나온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 집중력이 향상되고 충동자극이 억제가 되고 이성적 행동이 된다. 티비를 보는 것보다 2배 이상의 도파민이 나온다. 집중력을 잘하게 되면 공부를 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충동자극을 억제하면 티비를 보면 계속 보게 된다. 충동 자극을 억제할 수 없게 된다. 영상물은 자극이 지속적으로 오기 때문에 계속 볼 수밖에 없고 소리도 나오기 때문에 엄청나게 자극이 온다. 넷플릭스가 16부작을 한 꺼번에 공개를 하기 때문에 계속 보게 되는 것이다. 상상자극에서는 몰입이 되고 딴 짓을 안 하게 된다. 책을 덮을 수가 있다. 책은 자신의 의지대로 덮을 수 있다. 몰입이 너무 과해지기 전까지는 내가 알아서 자극을 조절할 수 있다. 남의 책을 많이 읽어라. 남이 고생하여 얻은 지식을 아주 쉽게 내 것으로 만들 수 있고, 그것으로 자기 발전을 이룰 수 있다._소크라테스, 사람은 책을 만들고 책은 사람을 만든다_신용호, 교보문고에 가면 묘비명처럼 나와 있다. 

소설은 읽지 말자:나의 성향을 맞는 책 고르기

 연애를 하고 싶어하고 현실에 없는 공주님과 왕자님을 기다리게 된다. 책을 읽지 않는다면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 그렇다면 쉽게 읽을 수 있는 책부터 읽자. 그것은 자기계발서이다. 자기계발서는 다 똑같은 이야기. 결론은 열심히 살아라. 성실히 살아라. 결론은 열심히 살아라는 이야기. 생활스터디를 하는 이유는 개선을 하고 싶어서 하는건데, 자기계발서는 개선을 하기위해 문장들이 많다. 연준선생님이 안 읽는 이유는 유행에 따라 똑같은 말을 하기 때문이다. 2000년 대 유행은 긍정적 사고와 꾸준한 독서를 하라 두 가지로 압축할 수 있고 2020년대 나를 변화시키는 좋은 습관으로 명상하라(스트레스 관리), 꾸준한 독서를 하라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그래서 결론이 무엇이냐라고 하면 빠지지 않고 이야기하는 것은 책을 꾸준히 읽으라고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자기계발서를 쓴 사람은 자기 나름 혹은 성공한 것처럼 인식하게 되는 사람들이 쓴 것이다. 그 중 독서를 이야기하지 않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성공이란 무엇입니까?

 부와 명예 혹은 많은 양의 지식을 가지고 있을 때 성공일까? 성공은 자신이 정하는 것이다. 성공의 기준은 없다. 이미 돈을 많이 벌고 있는데 성공을 하기 위한 모임을 계속 나가고 있다. 본인들은 성공의 기준을 만족을 못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에서는 자신을 성공이라고 말해주고 있는데 본인은 성공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재용, 빌게이츠가 얼마 버는지 아십니까? 빌게이츠는 1초에 1000달러를 벌고 있다. 1초에 100만원을 벌고 있다. 이재용은 1분에 3만원을 번다. 그럼 이재용은 성공한 걸까? 재벌은 불행하다. 많이 벌고 있기 때문에 사회에서 기대하고 있는 것이 많고 딸린 식구들이 많아서 말 한 마디도 조심을 해야 한다. 어디가서 이상한 말을 하면 주가가 떨어진다. 그래서 성공을 하기 위한 모임을 나가고 리더십을 위한 모임을 나간다. 리더라는 자리의 책임감을 많이 느끼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그렇다면 책에 나와 있는대로만 하면 우리는 성공을 할 수 있을까? 실천을 한다면 우리는 성공을 이룰 수 있을까? 자기계발서는 하루에 1.5권이 발행되고 있다. 그 내용은 대부분은 자신은 이렇게 해서 성공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다 적용이 될까? 그것대로 해서 성공했다는 사람은 1년에 3.8명이 나온다. 읽고 똑같이 실천을 해도 성공을 못한다. 저자와 독자의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똑같이 실천했다고 했어도 중간 중간에 빠져있는 것이 없다. 독자들이 저자들만큼 노력을 하지 않는다. 환경과 노력의 양이 다르다. 나에게 맞는 환경으로 적용해서 맞출 수 있어야 한다. 자기계발서는 처음에 독서라는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읽지만 맹신할 필요는 없다. 자기계발서의 용도는 초보용 독자를 위해 쓸 수 있고 내 삶의 지표나 지지 계층을 만들기 좋다. 예를 들어 시크릿을 실천하려고 노력하는 모임을 나가게 된다.